✓ 리액트 파이버
- https://d2.naver.com/helloworld/2690975
- Virtual DOM 이라는 것은 리액트 파이버 트리(HostRoot)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패턴
-> React elements와 native DOM을 동기화 하기 위한 패턴
- root element를 통해 렌더링 : <div id="root"></div>
const root = ReactDOM.createRoot(
document.getElementById('root')
);
✓ useRef()
- 리액트 파이버에서 관리할 수 없는 것
- 리액트 파이버 트리가 아닌, DOM을 직접 조작하는 hook
✓ 리액트 단계
1) Render : JSX / createElements() -> React elements 생성, 즉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
2) Reconcile : 재조정, siblings 등 재귀적으로 노드를 탐색하여 Fiber Node 생성하여 트리를 만드는 단계, DOM 트리와 elements 간 변경사항 적용
3) Commit : 새로운 DOM elements를 브라우저에 커밋
4) Update : props, state 변경 시 위 과정 반복
-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단계,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는 생명주기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0615 리액트 스터디 : hooks (0) | 2024.06.15 |
---|---|
Deep Dive : React hooks (0) | 2024.06.15 |
Formik -> React-Hook-Form 리팩토링 (0) | 2024.06.10 |
Deep Dive : 리액트 렌더링 / 메모이제이션 (0) | 2024.06.08 |
Deep Dive : 가상 DOM, 리액트 파이버 / 클래스 & 함수형 컴포넌트 (0) | 2024.06.01 |